최근 발매된 음원들을 살펴보면 '샘플링'을 많이 하는 추세
- 샘플링: 기존에 있던 곡의 일부 음원을 잘라내 새롭게 가공하고 배치하는 행위
※ 리메이크(악보를 그대로 사용하여 가사를 씌운 것)와는 다르다.
(여자)아이들의 경우 아티스트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컨셉, 샘플링 곡 등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룬다.
- 타이틀 곡은 <NXDE> 로, 오페라 <키르멘>의 아리아인 '하바네라' 샘플링
- 노래의 처음부터 하바네라의 멜로디를 사용
- 원곡과 완전 똑같지는 않음
- 템포가 바뀔 때 '쉿' 가사와 함께 모든 세션이 멈추고 바로 훅이 시작되는 부분은 몰입을 최대로 끌어올림
- 벌스에서 후렴구로 넘어갈 때 템포가 바뀜 (yes I nude-)
- 마릴린 먼로의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뱅크시의 '풍선과 소녀' 등 오마주
- 비주얼텔링, 심볼리즘; 20세기 미국문화에 대한 오마주
- 마릴린 먼로라는 아이콘과 연결지어 이미지에 대한 심도깊은 해석
- 다른 누군가가 원하는 모습이 아닌 그냥 '나'
- 꾸며지지 않은 개인의 본모습을 누드라는 단어에 빗대어 표현
- 사랑이라는 주제를 앨범의 메인테마로 사용
- 곡들이 한 화자의 하나의 스토리로 이어지는 콘셉트 앨범
- 스토리텔링이 트랙리스트 역순으로 소개된 것이 특징
- 이별, 극복, 자존감의 회복을 통해 진정한 '나'를 사랑하게 되었음을 잡지(매거진)의 인터뷰 형식으로 표현
- 카르멘의 캐릭터성을 생각하면 샘플링 또한 의도했다는 해석
"사랑은 길들지 않은 새"라고 노래하는 이 곡은 발표 당시 순종적으로 그려지던 여성의 이미지를 깨고 주체성을 나타냄
<NXDE>
- 'NUDE'의 U를 X로 표현함으로써 '누드'라는 단어를 선정적 이미지로 생각하는 편견을 없애겠다는 의도
- U는 곧 You가 되어 '당신' 내지는 '대중'이라는 범위로 대상을 확장하고, 그 자리에 "틀림"을 뜻하는 X를 집어넣으며 대중의 바람에서 탈피하겠다는 의미
- 단어를 듣고 선정적이라고 생각한 이들을 향해 "변태는 너야"라는 '누드'의 막바지 노랫말로 저격
- 섹스 심벌 (sex symbol)'로 소비되는 미국 배우 매릴린 먼로를 향한 헌사이자, 그녀의 이미지를 K팝 식으로 변주
말투는 멍청한 듯 몸매는 섹시 섹시요 / 그럼 다이아 박힌 티아라 하나에 / 내가 퍽이나 웃게 퍽이나 웃게 / 뒤틀려버린 로렐라이 Don't need no man / 철학에 미친 독서광 Self-made woman - (여자)아이들 <NXDE>중
- '로렐라이'는 먼로가 영화 '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에서 맡았던 백치미 넘치는 발랄한 쇼걸 이름이다.
- 진짜 먼로는 '몸매 좋은 멍청한 금발 미녀'가 아니었다. 영화 '7년 만의 외출'중 지하철 환풍구 바람에 치마를 날리는 그녀의 모습처럼 자극적인 이미지로 부풀려진 거다.
- 일부에선 금발 머리에 란제리 룩·가터벨트를 이번 의상 주요 콘셉트로 내세운 (여자)아이들의 행보가 여성의 성적대상화를 상업적으로 재차용한 거 아니냐는 비판 어린 시선도 보낸다. 하지만 이미지적으로 소비되는 아이돌인 당사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의상을 입었다는 자체는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누드'(NUDE)의 스펠링에서 유(U)를 엑스(X)로 변경한 곡 제목 역시 이러한 맥락 위에 있다.
<NXDE> 뮤직비디오 속 오마주 장면
이를 오마주한 장면으로 여성의 누드그림의 일부가 파쇄되어 있다.
- 사진 속 마릴린이 읽는 책은 어렵기로 소문난 책이라 마릴린이 절대 이해할 리가 없다며 소품으로 사용한 것이 분명하다는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던 마릴린 먼로의 모습 오마주
제시카 래빗
- 뮤직비디오에서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2D 동화 합성, 꼬리 등
- 제시카의 첫 등장에 무대의 커튼이 걷히면서 시작되는 점이 연관
- 우스꽝스러운 토끼 남편 로저 래빗과는 어울리지 않는 미녀라는 이유로 부자와 바람이 나서 남편 로저를 살해 청부했다는 오해를 받는데 결말은 사실 로저를 사랑하고 그를 구하려 뛰어다닌 착한 여자였음
- 클리셰적 편견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캐릭터
- 제시카 래빗의 “나는 나쁘지 않아요. 그런 식으로 ‘그려졌을’ 뿐이지.”라는 대사는 Nxde를 관통하는 핵심 메시지와 일치
단순히 대중성을 위한 유명한 곡의 샘플링이 아니라, (여자)아이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연관된 샘플링, 가사와 뮤직비디오를 통해 오마주함으로써 완성되었기에 오마주 부분도 함께 분석해보았다. 헤어와 스타일링까지 함께 보아야 완성된다. 걸그룹으로서의 편견과 틀을 깨겠다는 포부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나타나지 않았나 싶다.
대중들이 원하는 모습으로 되기보다 있는 나 자신 그대로를 사랑하겠다는 메시지를 타이틀곡 'NXDE'와 앨범의 유기적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다.
메타버스 아이돌 '메이브(MAVE)' 분석 (0) | 2023.02.22 |
---|---|
샘플링 곡 사례 분석 ④ 아이브 (1) | 2023.01.30 |
샘플링 곡 사례 분석 ③ 블랙핑크 (0) | 2023.01.30 |
샘플링 곡 사례 분석 ② 레드벨벳 (0) | 2023.01.30 |
H.O.T - NCT DREAM 의 CANDY 비교 분석 (0) | 2022.12.27 |